공인중개사 기출 33회 1차 22번 – 부동산학개론

포트폴리오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 ①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 간 상관계수가 “0”인 두 개의 자 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난다.
  • ②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을 가중평균하여 구한다.
  • ③ 동일한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도 개별자산의 투 자비중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분산은 다를 수 있다.
  • ④ 무차별곡선은 투자자에게 동일한 효용을 주는 수익과 위험의 조합을 나타낸 곡선이다.
  • ⑤ 최적 포트폴리오의 선정은 투자자의 위험에 대한 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답: 1

①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 간 상관계수가 “0”인 두 개의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난다.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는 상관계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두 자산의 상관계수가 “0”일 때 위험 감소 효과가 발생하지만, 위험 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려면 상관계수가 “0”이 아니라 “-1″이어야 합니다. 상관계수가 -1이면 두 자산의 수익률이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한 자산의 손실이 다른 자산의 수익으로 완벽히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전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이론에 따르면 ①는 틀린 설명입니다.


더 많은 문제 보러 가기
https://apps.apple.com/kr/app/%EA%B3%B5%EC%9D%B8%EC%A4%91%EA%B0%9C%EC%82%AC-%EA%B8%B0%EC%B6%9C-%EB%AC%B8%EC%A0%9C%ED%92%80%EC%9D%B4-%EC%98%A4%EB%8B%B5%EB%85%B8%ED%8A%B8-%EC%A6%90%EA%B2%A8%EC%B0%BE%EA%B8%B0/id6504501130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