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 ①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 간 상관계수가 “0”인 두 개의 자 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난다.
- ②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을 가중평균하여 구한다.
- ③ 동일한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도 개별자산의 투 자비중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분산은 다를 수 있다.
- ④ 무차별곡선은 투자자에게 동일한 효용을 주는 수익과 위험의 조합을 나타낸 곡선이다.
- ⑤ 최적 포트폴리오의 선정은 투자자의 위험에 대한 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답: 1
①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 간 상관계수가 “0”인 두 개의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난다.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 포트폴리오의 위험감소 효과는 상관계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두 자산의 상관계수가 “0”일 때 위험 감소 효과가 발생하지만, 위험 감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려면 상관계수가 “0”이 아니라 “-1″이어야 합니다. 상관계수가 -1이면 두 자산의 수익률이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한 자산의 손실이 다른 자산의 수익으로 완벽히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전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이론에 따르면 ①는 틀린 설명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