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주택시장에서 공급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단, 신규주택은 정상재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ㄱ. 주택가격의 하락 기대
ㄴ. 주택건설업체 수의 감소
ㄷ. 주택건설용 토지의 가격 하락
ㄹ. 주택건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 축소
ㅁ. 주택건설기술 개발에 따른 원가절감
- ① ㄱ, ㄴ
- ② ㄴ, ㄹ
- ③ ㄷ, ㅁ
- ④ ㄱ, ㄴ, ㄹ
- ⑤ ㄴ, ㄹ, ㅁ
정답: 4
1. **주택가격의 하락 기대(ㄱ)**:
– 기존 및 신규 주택 공급자들이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되면, 미래에 더 낮은 가격에 팔리게 되므로 현재 주택 공급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공급 감소 요인이 됩니다.
2. **주택건설업체 수의 감소(ㄴ)**:
– 신규 주택의 공급은 주택건설업체가 직접 관여하므로, 주택건설업체의 수가 줄어들면 시장에서 공급되는 신규 주택의 총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3. **주택건설용 토지의 가격 하락(ㄷ)**:
– 토지 가격이 하락하면, 이는 주택건설비용을 감소시켜서 주택 공급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므로, 공급 감소 요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에서 제외됩니다.
4. **주택건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 축소(ㄹ)**:
– 정부가 주택건설에 제공하던 보조금이 축소되면, 건설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주택 건설업체들이 주택을 짓는 것을 포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규 주택 공급이 감소하게 됩니다.
5. **주택건설기술 개발에 따른 원가 절감(ㅁ)**:
– 새로운 건설기술의 개발로 인한 원가 절감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주택을 건설할 수 있게 만들어주므로, 이는 공급 증가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공급 감소 요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주택 공급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ㄱ, ㄴ, ㄹ이 맞고, 정답은 **(D) ④ ㄱ, ㄴ, ㄹ**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