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Uncategorized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20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20번 콘크리트 타설작업과 관련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 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 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②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 것 ③ 진동기의 사용은 많이 할수록 균일한…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7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7번 흙막이 공법을 흙막이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와 구조방식에 의한 분류로 나눌 때 다음 중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 당하는 것은? ① 수평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 ② H-Pile 공법 ③ 지하연속벽 공법 ④ Top down method 공법 정답: 1 해설 수평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은 흙막이 벽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합니다. 반면,…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8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8번 철골용접부의 내부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 만 확정답안 발표시 1,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 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알칼리 반응 시험 ② 방사선 투과시험 ③ 자기분말 탐상시험 ④ 침투 탐상시험 정답: 1 해설 알칼리 반응 시험은 콘크리트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을 평가하는…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9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9번 유해위험방지 계획서를 제출하려고 할 때 그 첨부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사개요서 ②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작성요령 ③ 전체 공정표 ④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정답: 2 해설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작성요령은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필수 첨부서류가 아닙니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에는 공사개요서, 전체 공정표, 재해 발생 시 대피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작성요령은 별도의 지침일…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5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5번 지반 등의 굴착 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연암 지반 굴착 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 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① 1 : 0.3 ② 1 : 0.4 ③ 1 : 0.5 ④ 1 : 0.6 정답: 3 해설 연암 지반 굴착…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6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6번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난간등의 설치가 매우 곤란하거나 작업의 필요상 임시로 난간등을 해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① 구명구 ② 수직보호망 ③ 석면포 ④ 추락방호망 정답: 4 해설 추락방호망은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난간 설치가 곤란하거나 임시로 난간을 해체해야 할 경우, 추락으로 인한 사고를…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3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3번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경우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 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② 버팀대의 긴압(緊壓)의 정도 ③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④ 지표수의 흐름 상태 정답: 4 해설 지표수의 흐름 상태는 흙막이 지보공의 구조적 안전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이 아닙니다.…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4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4번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 울기는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① 65° ② 70° ③ 75° ④ 80° 정답: 3 해설 지주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7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75°를 초과하면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전도 위험이 증가합니다. 1, 2번은 지나치게 낮아 구조물의 실용성이 떨어지고, 4번은 안전 기준을 초과하여…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2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2번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 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는 제외) ①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한다. ②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나 이상 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킨다. ③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④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한다.…
-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0번
assets 기출 2020년 9월 건설안전기술 과목 110번 NATM공법 터널공사의 경우 록 볼트 작업과 관련된 계측 결과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내공변위 측정 결과 ② 천단침하 측정 결과 ③ 인발시험 결과 ④ 진동 측정 결과 정답: 4 해설 진동 측정 결과는 록 볼트 작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계측 결과가 아닙니다. 록 볼트 작업과 관련된 계측은 주로 터널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내공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