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Jongmin KIM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6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6번 굳지 않는 콘크리트 중의 전 염화물이온량은 원칙적으로 얼 마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 ① 0.3 kg/m3 ② 0.4 kg/m3 ③ 0.5 kg/m3 ④ 0.6 kg/m3 정답: 1 해설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이온은 철근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엄격히 제한됩니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전 염화물이온량은 일반적으로 0.3 kg/m³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준을 초과하면 철근…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5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5번 콘크리트의 양생시 주의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① 표면을 충분한 습윤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②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③ 습윤과 건조를 반복시켜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줄일 수 있다. ④ 충격이나 하중으로부터 보호해 주어야 한다. 정답: 3 해설 콘크리트 양생 시에는 습윤 상태를 유지하여 수화반응을 촉진하고 건조수축을 방지해야 합니다. 습윤과 건조를 반복시키면 수분의…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4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4번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는 24M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 기 위해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좋다. ③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 기 위해 콘크리트의 균열폭을 적게 하여야 한다. ④ 해양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시공을…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3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3번 다음의 시방배합을 기준으로 현장 배합을 할 경우 현장배합 의 각 재료의 단위량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현장 잔 골재 중에서 5mm 체에 남는 것, 현장 굵은 골재 중에서 5mm체를 통과하는 것은 없으며, 잔골재의 흡수율은 1.4%, 함수율은 3.9%, 굵은 골재의 흡수율은 0.5%, 함수율은 1.0% 이다.) ① 잔골재량(S)은 871 kg 이다.…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2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2번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이용하여 할렬인장강도 시험을 실시 하였더니 95kN의 하중에서 파괴되었다. 인장강도는 얼마인 가? (단, 공시체의 지름은 100mm, 높이는 200mm) ① 2.0 MPa ② 3.0 MPa ③ 4.0 MPa ④ 5.0 MPa 정답: 2 해설 할렬인장강도는 원주형 공시체에서 하중을 가했을 때 발생하는 인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공식은 할렬인장강도 = (2 × 하중) ÷…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0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0번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에서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얼마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① (6±0.4)MPa ② (0.6±0.4)MPa ③ (0.6±0.04)MPa ④ (0.06±0.04)MPa 정답: 2 해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시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0.4)MPa가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는 시험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유지하기 위한 규정된 기준입니다. 1번은 너무 빠른 속도이며, 3번과 4번은 기준…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1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1번 댐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일반적인 경우 재령 몇 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① 14일 ② 28일 ③ 56일 ④ 91일 정답: 4 해설 댐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대단면으로 시공되며, 재령에 따른 강도 발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콘크리트가 28일 강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과 달리, 댐콘크리트는 보다 긴 기간인 91일 재령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설계기준압축강도를…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8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8번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 나서 슬럼프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옳은 것은? ① 1분 이내로 한다. ② 2분 이내로 한다. ③ 3분 이내로 한다. ④ 4분 이내로 한다. 정답: 3 해설 슬럼프 시험에서 콘크리트를 슬럼프콘에 채우기 시작하고 나서 슬럼프콘을 들어 올리기까지의 시간은 3분 이내로 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이보다…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9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9번 다음 중 콘크리트 양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할때까지 충격과 과대한 하중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② 서리, 일광의 직사, 바람, 비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노출면 을 보호한다. ③ 타설이 끝난 콘크리트는 일정기간동안 높은 온도로 양생 해야 한다. ④ 타설이 끝난 콘크리트는 일정기간동안 습윤양생을 실시한 다. 정답: 3 해설 콘크리트…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7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7번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표준편차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수치는? ① 15 ② 20 ③ 25 ④ 30 정답: 4 해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시험 횟수가 적으면 통계적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최소 30회 이상의 데이터를 통해 신뢰성 있는 표준편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