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Uncategorized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6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6번 역 T형 교대를 설계할 경우 주철근으로 설계하는 위치를 제 시한 것이다. 다음 그림에서 주철근이 아닌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정답: 4 해설 역 T형 교대에서 주철근은 일반적으로 휨 응력을 받는 위치(슬래브 하부, 벽체의 배면 등)에 배치됩니다. 교대의 전면부 하단(D 위치)은 주로 압축력을 받는 위치로 휨 응력을 받지…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5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5번 터널에 있어서 인버트 아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① 용수가 많은 터널에서 ② 구배가 큰 터널에서 ③ 지질이 연약하고 나쁜 터널에서 ④ 복공 콘크리트 비를 절약하려는 경우 정답: 3 해설 터널에서 인버트 아치는 터널 하부의 지반이 연약하거나 지질 조건이 나빠서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설치합니다. 인버트 아치는 터널 하부의 변형을 억제하고 구조적…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4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4번 도로는 동결융해 작용으로 인하여 도로 포장이 파손되지 않 아야 한다. 이를 위한 동해방지 대책공법으로 적합하지 않 은 것은? ① 동결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지표부의 흙을 화학약제로 처 리하여 동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것 ② 지하수위를 낮추어 동상에 필요한 공급수를 차단하고, 쌓기를 하여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할 것 ③ 동결깊이까지 실트질의 흙으로 치환하여…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2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2번 네트워크 공정표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중점관리가 된다. ② 수정이 쉽다. ③ 전체와 부분의 관련을 잘 알 수 있다. ④ 기자재, 노무 등 배치인원 계획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 다. 정답: 2 해설 네트워크 공정표는 작업 간의 관계와 전체 공정 흐름을 명확히 나타내어 중점 관리가 가능하며(1번), 전체와 부분의 관련성을 쉽게…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3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3번 제작장에서 한 세그먼트씩 제작 후 압출잭(jack)을 사용하여 밀어내기 하는 교량 가설공법은? ① FSM공법 ② ILM공법 ③ MSS공법 ④ FCM공법 정답: 2 해설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제작장에서 한 세그먼트씩 제작한 후 압출잭(jack)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설치하는 공법입니다. FSM(1번)은 동바리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지지대를 두고 시공하는 방법이며, MSS(3번)는 이동식 비계 시스템으로…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0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0번 강관이나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수압으로 구 멍의 벽을 보호하며, 지름이 큰 말뚝의 시공에 알맞은 현장 치기 콘크리트 말뚝 공법은? ①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② 어스 오거 공법 ③ 어스 드릴 공법 ④ 베노토 공법 정답: 1 해설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은 강관이나 벤토나이트 용액 없이 정수압으로 굴착공 벽면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특히 대구경…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1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51번 PERT기법에 의한 공정 관리 방법에서 낙관적인 시간이 6 일, 정상시간이 10일, 비관적 시간이 8일 인 경우 공정상의 기대시간은? ① 8일 ② 9일 ③ 12일 ④ 13일 정답: 2 해설 PERT 기법에서 공정의 기대시간은 낙관적 시간, 정상 시간, 비관적 시간을 이용하여 산정합니다. 기대시간 계산 공식은 (낙관적 시간 + 4 × 정상 시간 +…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9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9번 콘크리트댐의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멘트는 수화열이 큰 것을 사용한다. ② 일반적으로 1리프트의 높이는 1.5m정도로 한다. ③ 수평 시공이음 방법에는 경화전처리법과 경화후 처리법 이 있다. ④ 콘크리트 냉각은 Pipe Cooling과 Pre-Cooling을 실시한 다. 정답: 1 해설 콘크리트댐 시공 시에는 수화열이 큰 시멘트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수화열이 크면 콘크리트 내부의…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8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8번 암반굴착 시 제어발파를 실시하는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낙석위험이 적다. ② 버력운반량이 많다. ③ 암석면이 매끈하다. ④ 복공콘크리트양이 절약된다. 정답: 2 해설 제어발파는 암반굴착 시 주변 암반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암석면을 매끈하게 하고 낙석 위험을 줄이며, 이에 따라 복공 콘크리트 사용량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버력(발파 후 발생하는 암석 파편)의 운반량이 증가하는…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7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6년 3월 건설시공학 과목 47번 토공의 굴착작업에 사용하는 기계로서 적당하지 않은 기계 는? ①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② 백호우(Back Hoe) ③ 트렌처(Trencher) ④ 크램셀(Clam Shell) 정답: 1 해설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는 흙의 굴착이 아니라, 토양 안정화를 위해 흙과 안정제를 혼합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굴착 작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백호우(Back Hoe, 2번)는 굴착용 기계로 널리 사용되며, 트렌처(Trencher, 3번)는 좁은 도랑을 파는데 사용되고, 크램셀(Cl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