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Uncategorized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20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20번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① 비비 시험 ② 리몰딩 시험 ③ 블리딩 시험 ④ 슬럼프 시험 2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정답: 3 해설 3번 블리딩 시험은 콘크리트 내의 물이 표면으로 상승하는 블리딩 현상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의 반죽질기(유동성 또는 작업성)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반면에 1번 비비 시험, 2번 리몰딩 시험,…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8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8번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습윤 양생 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① 7일 ② 6일 ③ 5일 ④ 3일 정답: 1 해설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수화반응이 일반 시멘트보다 느리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 발현을 위해 습윤 양생 기간을 일반적으로 7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6일, 5일, 3일 등은 충분한 강도 발현을 위한 습윤 양생…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9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9번 해양 콘크리트의 염해에 대한 내구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염화물의 작용을 받을 경우 반복 응력을 받은 강재의 피 로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부식 피로라고 부른다. ②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를 적당량 시멘트와 치환함으로서 해수의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큰 콘크 리트를 만들 수 있다. ③ 해안선으로부터 250m 이내의 육상지역은 염해에…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7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7번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할 경우 가장 주의깊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① 시공의 용이 ② 화학적 저항성 증대 ③ 초기동해의 방지 ④ 수화열 저감 정답: 3 해설 한중콘크리트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시공하는 콘크리트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초기 동해(초기 콘크리트가 얼어서 손상되는 현상)의 방지입니다. 초기 동해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6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6번 콘크리트를 제작할 때 혼화재의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오 차로서 옳은 것은? ① ±1% ② ±2% ③ ±3% ④ ±4% 정답: 2 해설 혼화재의 계량오차 허용범위는 ±2%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혼화재가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1%는 너무 엄격하고, ±3%나 ±4%는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콘크리트 품질에 악영향을…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5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5번 관리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제품 품질의 변동은 우연한 원인에 의한 변동과 이상 원 인에 의한 변동이 있다. ② 관리도는 계량 값 관리도와 계수 값 관리도로 구분된다. ③ 관리도에서 연속 6점 이상의 점이 순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는 공정에 이상이 있다고 보고, 그 원인을 조 사한다. ④ 관리도를 사용하여도 우연한 원인에…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4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4번 콘크리트의 비파괴시험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반발경도법 ② 초음파속도법 ③ 구관입시험법 ④ 충격공진법 정답: 3 해설 3번 구관입시험법은 콘크리트가 아닌 주로 지반의 강도나 지지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비파괴시험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1번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 표면의 경도를 측정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고, 2번 초음파속도법은 초음파의 전달속도를 이용하여 내부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4번 충격공진법은 진동…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2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2번 일반 수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물-경합재비는 50% 이하이어야 한다. ② 타설할 때 완전히 물막이를 할 수 없는 경우 유속은 50mm/s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단위 시멘트량은 370kg/m3 이상이어야 한다. ④ 대규모 공사의 경우 밑열림 상자나 밑열림 포대를 사용 하여 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4 해설 4번이 옳지 않은 이유는…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3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3번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필요한 압축강도의 표준 편차는 몇 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는가? ① 30회 ② 50회 ③ 100회 ④ 120회 정답: 1 해설 콘크리트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최소 30회 이상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신뢰성 있는 표준편차를 얻기 위해 충분한 시험…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0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9년 4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0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프리텐션방식의 경우 이며, 실험이나 기존의 적용실적 등을 통해 안정성이 증명 된 경우를 제외한다.) ① 25MPa 이상 ② 30MPa 이상 ③ 35MPa 이상 ④ 40MPa 이상 정답: 2 해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싱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기준은 최소 30MPa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