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Uncategorized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6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6번 다음 중 소요의 단위 수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내동해성 을 개선시키는 혼화제는? ① 촉진제 ②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 ③ 건조수축 저감제 ④ 고성능 AE 감수제 정답: 4 해설 고성능 AE 감수제는 콘크리트의 단위수량(물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작업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며, 공기를 적절히 연행시켜 콘크리트의 내동해성(동결융해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혼화제입니다. 촉진제는 응결 및 경화…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5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5번 다음 중에서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너마이트(dynamite)는? ①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② 교질 다이너마이트 ③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④ 분말상 다이너마이트 정답: 2 해설 교질 다이너마이트는 내수성이 뛰어나 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폭발할 수 있으며, 폭발력이 매우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규조토 다이너마이트는 일반적인 지상용으로 내수성이 떨어지고,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는 질산글리세린 함량이…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4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4번 플라이애시에 대한 품질시험 항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응결시간 ② 분말도 ③ 강열감량 ④ 습분 정답: 1 해설 플라이애시는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시멘트 혼화재로 사용될 때 품질관리를 위해 분말도(입자크기), 강열감량(유기물 함량), 습분(수분 함량) 등을 시험합니다. 그러나 응결시간은 시멘트의 응결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플라이애시 자체의 품질시험 항목으로는 적합하지…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3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3번 콘크리트용 혼화제인 방수제의 방수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 린 것은? ① 미세한 물질을 혼입하여 공극을 물리적으로 충전시킨다. ② 가스를 발생시켜 기포를 도입한다. ③ 공극에 수밀성을 높이는 막을 형성한다. ④ 수화반응을 촉진시켜서 생기는 시멘트 겔에 의해 공극을 충전시킨다. 정답: 2 해설 콘크리트용 방수제는 공극을 물리적으로 충전하거나 공극 내에 수밀성 막을 형성하거나…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1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1번 다음 중 콘크리트용 골재의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① 마모시험 ② 안정성시험 ③ 신도시험 ④ 단위용적질량시험 정답: 3 해설 골재 시험방법에는 골재의 내구성, 물리적 특성 등을 평가하는 시험들이 포함됩니다. 마모시험은 골재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며, 안정성시험은 골재의 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단위용적질량시험은 골재의 밀도와 관련된 시험으로서 골재 시험방법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신도시험은 아스팔트와…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2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건설재료 및 시험 과목 22번 토목섬유(Geotextiles)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혼합기능 ② 배수기능 ③ 분리기능 ④ 보강기능 정답: 1 해설 토목섬유(Geotextiles)는 토목공사에서 지반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재료로서, 주로 배수기능(지하수나 지표수를 배출하는 역할), 분리기능(서로 다른 재료층 간의 혼합 방지), 보강기능(지반 강도 보강)을 수행합니다. 혼합기능은 오히려 지반재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기능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토목섬유의 주된…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20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20번 다음은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기준이다. 틀린 것은? ① 설계기준 휨강도 : 4.5 MPa 이상 ② 공깅연행 콘크리트의 공기량 : 4~6 퍼센트 ③ 굵은골재 최대치수 : 40㎜이하 ④ 단위수량 : 180 kg/m3 이하 2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정답: 4 해설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시 단위수량은 일반적으로 157 kg/m³ 이하로…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8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8번 압축강도의 시험실적이 없는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28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① 35 MPa ② 36.5 MPa ③ 38 MPa ④ 39.5 MPa 정답: 2 해설 압축강도의 시험실적이 없는 경우,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5 MPa 이하에서는 배합강도는 설계기준압축강도에 8.5 MPa를 더한 값으로 설정합니다. 따라서 설계기준압축강도 28 MPa의 경우, 배합강도는 28 MPa + 8.5 MPa =…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9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9번 수중 콘크리트의 구성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경우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4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② 트레이로 시공하는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100~150㎜ 범위로 한다. ③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4%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④ 지하 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 콘크리트의 경우, 지하연 속벽을 가설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단위 시멘트량은 300…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7번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기출 2015년 3월 콘크리트공학 과목 17번 다음 관리도의 종류 중 정규분포이론을 적용한 계량값의 관 리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관리도(평균값과 범위의 관리도) ② 관리도(평균값과 표준편차의 관리도) ③ ④ P 관리도(불량률 관리도) 정답: 4 해설 P 관리도는 불량률 관리도로서, 계량형(연속적인 수치) 데이터가 아닌 계수형(불량품의 수, 불량률 등)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1(평균값과 범위), 2(평균값과 표준편차), 3(개별값과 이동범위)…